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밍/Python 관련 정보

[Python Programming 기초] Index Slicing

by 물박사의 저장공간 2025. 4. 27.

2025.03.15 - [프로그래밍/Python 관련 정보] - [Python] Table of Contents


인덱스 슬라이싱은 Python의 인덱싱과 슬라이싱(index slicing) 은 리스트, 문자열, 튜플 같은 시퀀스 자료형에서 부분을 잘라내거나 선택하는 방법입니다. 

 

주로 

시퀀스[start:end:step]

와 같은 형태로 사용됩니다. 

 

lst = ['a', 'b', 'c', 'd', 'e']

print(lst[1:4])    # ['b', 'c', 'd'] → 1번 인덱스부터 3번 인덱스까지
print(lst[:3])     # ['a', 'b', 'c'] → 처음부터 2번 인덱스까지
print(lst[2:])     # ['c', 'd', 'e'] → 2번 인덱스부터 끝까지
print(lst[:])      # ['a', 'b', 'c', 'd', 'e'] → 전체 복사
print(lst[::-1])  # ['e', 'd', 'c', 'b', 'a'] → 리스트를 뒤집음
print(lst[4:1:-1]) # ['e', 'd', 'c'] → 4번부터 2번까지 거꾸로

 

사실 오늘 포스팅을 작성한 이유인데.. 이 인덱스 슬라이싱은 범위를 넘어가도 에러가 나지 않습니다. (이게 때로는 예상치 못한 에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)

lst = ['a', 'b', 'c']

print(lst[0:10])  # ['a', 'b', 'c'] → end가 커도 괜찮음